변호사시험 합격 상담
저는 변호사시험을 여러번 봤습니다. 합격 후 합격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재미있게도, 합격에 필요한 것들은 합격 후에는 아주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2025년 변호사시험 합격률 46퍼센트
변호사시험의 응시자 수 대비 합격자수는 제7회 변호사시험을 제외하고는 제5회 변호사시험부터 50퍼센트 초반을 유지해왔습니다. 그러다가 2025년 제14회 변시에서 응시자 3763명 중 2019명이 불합격하며 합격률 46퍼센트를 처음으로 기록합니다. 제1회부터 제14회까지 역대 변호사시험 합격률은 별도로 정리해두었습니다.
병원에 실려가도 붙을 수 있는 실력
시험에 아깝게 떨어졌을 때, 어떤 변호사님께 상담을 부탁드렸을 때 돌아온 대답은 냉정했습니다. “아깝게 떨어질 실력이 아니라, 병원에 실려가도 붙을 실력을 만들어야죠.” 그 말을 듣고 당황했으나, 떠올릴수록 맞는 말이라는 생각에 목표를 새로 만들고 11월까지 변호사시험 공부를 마쳤습니다. 신기하게도, 12월에 3주 넘게 아팠는데도 크리스마스에 정신을 차리고 다시 공부를 마치고 시험을 봤습니다.
답안지 쓰는 방법과 객관식 개수 확보
변호사시험은 객관식 점수가 깡패라서 객관식을 여러번 돌리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실제로 객관식을 극단적으로 추구해서 붙는 사람도 보았는데, 안정적인 합격을 위해서는 사례와 객관식을 두루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맞습니다.
답안지 쓰는 방법의 경우 키워드 채점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답안지 채점 방식에 입각한 구성 방법은 모범답안을 봐도 따라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사례와 객관식 하나의 솔루션
객관식과 사례형 모두 시간 싸움입니다. 결론에 이르는 길은 많겠지만 어떤 식으로 시험이 나오든지 상위 30퍼센트 정도 성적이 안정적으로 나오면 떨어지기 힘듭니다.
시간 내에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암기가 되어야 하는데, 방대한 양의 자료를 암기하려면 요령과 성실성이 필요합니다.
매일 최소한의 성실성을 가지고 불안함을 이겨낸다면 옳은 길로 가는 일만 남습니다.
변호사시험 상담방에 입장해서 본인의 상황을 설명해주시면 간략하게 답변을 드립니다.